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월세 지원 필수 서류 중 하나!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방법 확정 일자 받는 법 수정하는 방법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증 발급 받는 방법

by 알짜쮸우 2025. 1. 31.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은 청년월세 지원 신청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 바로 주택임대차 계약 신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요즘은 이 모든 과정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0년차 자취러인 저도 처음에는 헷갈렸던 적이 많았는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주택임대차 계약 신고란?

주택임대차 계약 신고는 말 그대로 임대인과 임차인이 맺은 임대차 계약 내용을 관할 행정기관에 신고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임대차 시장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임차인도 계약 내용을 공식적으로 증명받을 수 있어 다양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청년월세 지원을 신청할 때, 이 신고가 완료된 서류(주택임대차 계약 신고서)가 필수로 요구되기 때문에 반드시 진행하셔야 해요. 확정일자까지 받으면 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으니, 이왕 하시는 김에 확정일자까지 한 번에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 방법]

1. 네이버에 [주택 임대차 계약신고] 라고 검색합니다.

2. 아래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클릭합니다.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https://rtms.molit.go.kr/

 

rtms.molit.go.kr

 

3.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클릭하며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 이름과 주민등록 번호를 기입하고 [간편 인증 로그인]을 눌러 줍니다.

 

5. 저는 카카오톡 인증이 제일 간단하다고 느껴져서 카카오톡으로 간편인증을 진행 했습니다. 

 

 

6. 인증 완료 하면 부동산에서 작성했던 월세 또는 전세 계약서를 챙겨서 계약서에 기재 되어 있는 그대로 입력을 합니다. 

 

7. 확인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곳 또한 계약서에 기재된 그대로 입력해 주세요. 

 

[신청서 작성 시 중요한 포인트]

  • 계약서 그대로 작성: 계약서 내용을 그대 로 입력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실수로 잘못 입력한 경우, 해당 주민센터에서 잘못된 사항을 정리해 카톡으로 보내주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저장 버튼 꼭 누르기: 작성 후 저장 버튼을 반드시 눌러주세요. 저장하지 않으면 입력 내용이 모두 날아갈 수 있습니다.
  • PC에서만 수정 가능: 접수와 수정은 반드시 PC로만 가능합니다. 모바일로 접속은 가능하지만 수정은 불가하니 유의하세요.
    • 주민센터에서 보안 요청을 하면 "확인 요청" 버튼을 먼저 눌러야 합니다.
    • 이후 필요한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한 다음 제출하세요. 이 과정을 놓치면 접수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8. 확정일자는 자동 승인

[확정일자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완료 처리되면 자동으로 확정일자 승인이 되니 따로 또 접수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